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SoC 설계 및 프로그래밍 (1) - Project objective & System Flow & System Architecture SoC 설계 및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1. Project objective SoC 설계 및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저희가 진행한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RPS-Z7020-TK 실습 board를 사용하여 유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하고, 전송받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시스템 구현 프로젝트 목표만으로는 잘 와닿지 않기 때문에 System flow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2. System Flow 저희 팀이 구상한 전체적인 system flow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디바이스에서 UART를 통해 보드에 장착되어있는 SD카드에 이미지를 전송합니다. 이때, SD카드에 이미지가 전송되는 전송률을 seven segment를 통해 표시합니다. 다음으로 SD카드에 전송된 이.. 2022. 7. 28.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 (4) - FlashLinQ 앞서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이 왜 필요한지 알아보았으므로, 이번에는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 중에 하나인 FlashLinQ에 대해 배경 및 개념을 조사하고, 시뮬레이션을 돌린 뒤, capacity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1. 배경 및 개념 FlashlinQ는 Qualcomm사의 독자 규격 D2D 시스템으로써 인접성 인지 기술 및 자원할당, 링크 관리 등의 기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FlashlinQ는 면허 대역에서 최대 1 km이내의 수천 개의 단말 간의 통신을 지원하여 Wi-Fi direct등의 경쟁 D2D 통신기술에 비해 넓은 커버리지 및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타 기술과 비교하여 FlashlinQ만의 두드러지는 특징으로는 외부 셀룰러 기지국을 .. 2022. 7. 28.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 (3) - No scheduling & Random power simulation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의 필요성을 알아보기위해 스케쥴링을 하지않았을 때와, power를 무작위 값으로 설정한 뒤 스케쥴링을 하였을 때 시뮬레이션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를 테스트 하였습니다. 1. No scheduling simulation 다음은 scheduling이 전혀 되지 않은 상황에서 power를 0.2로 고정하고, link의 개수를 1에서부터 1000까지 바꿔가며 one channel capacity와 total channel capacity를 구한 그래프입니다. 위의 그래프에서 one channel capacity와 total channel capacity는 점차 수렴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Random power simulation 다음은 s.. 2022. 7. 26.
Overall Physical Design Flow Physical Design이란? Physical Design이란 합성과정을 통해 Netlist 형태로 존재하는 회로를 실제 공정이 가능한 기하학적 구조(manufacturable geometries 또는 layout)으로 바꾸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hysical Design의 전반적인 Flow는 다음의 4가지 단계를 따르게 됩니다. Lab을 통해 Physical Design의 전반적인 flow를 배울 수 있었고, 제가 진행한 Lab에서의 Flow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esign Import 2. FloorPlan & PowerPlan 3 .Placement 4. CTS(Clock Tree Synthesis) 5. Route 1. Design Import Design import를 통해 .. 2022. 7. 19.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 (2) - Simulation modeling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의 성능을 알아보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모델링하였습니다. 시뮬레이션 모델링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1. 시뮬레이션 환경 결정 2. Matlab을 통한 시뮬레이션 환경 생성 1. 시뮬레이션 환경 결정 시뮬레이션을 모델링하기 위해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Network geometry : 반지름 3km, 지름 6km인 원 안에서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 - Distance between Rx and Tx : Rx와 Tx사이의 거리는 100m 이내, Rx가 생성된 위치의 반지름 100m 이내에 랜덤으로 Tx를 생성 - Path Loss : 도심환경을 가정하고 Path Loss는 3으로 결정 - Channel environmen.. 2022. 7. 18.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 (1) - D2D link power control D2D link scheduling algorithm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D2D link란 무엇인지, D2D link power control을 하는 스케쥴링 알고리즘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D2D link, D2D link power control이란? D2D link(Device To Device link)는 Device와 Device간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link(채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2D link power control이란 Device와 Device간의 채널에서 어떻게 파워컨트롤을 해야겠는가에 대한 질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D2D link power control이 대두되기 시작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의 통신이 기지국을 거쳐 사용되는 방식이.. 2022. 7. 17.